해외여행갤러리
광고
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
사회초년생인데 월급 관리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요? 첫 월급을 받고 너무 기뻤는데, 막상 어디에 어떻게 써야 할지

첫 월급을 받고 너무 기뻤는데, 막상 어디에 어떻게 써야 할지 몰라서 다 써버릴까 봐 걱정이에요.사회초년생이 실천할 수 있는 월급 관리법이나 예산 세우는 팁이 있을까요?통장 쪼개기나 자동이체 같은 현실적인 방법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!

안녕하세요~ 첫 월급 받은 기쁨도 잠시, 월급 관리를 어떻게 시작할지 고민이신 질문자님.

저도 사회 초년생 시절에 첫 월급 받고 신나서 친구들이랑 맛있는 것도 많이 사먹고, 쇼핑도 하다 보니 한 달이 금방 가더라고요. 그때 ‘미리 계획만 세웠어도 이렇게 불안하진 않았을 텐데’ 싶었어요.

제 경험상 이렇게 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:

  1. 1. 목적별 통장 쪼개기부터 시작해보세요

  • - 생활비 통장: 고정지출(월세, 교통비, 통신비 등)과 변동지출(식비, 쇼핑 등)을 분리해서 사용하세요.

  • - 저축 통장: 무조건 월급의 20~30%는 이체되도록 자동이체 설정해두세요. 눈에 안 보이면 덜 쓰게 됩니다.

  • - 비상금 통장: 갑자기 병원비나 급한 일이 생길 수 있으니, 소액이라도 따로 모아두세요.

  1. 2. 자동이체는 ‘급여일+1일’에 맞춰 설정하세요

  • 월급 들어오는 날 바로 저축/청구 자동이체가 빠져나가도록 설정하면, 남은 돈으로만 생활하게 되니까 자연스럽게 지출이 줄어듭니다.

  1. 3, 가계부는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마세요

  • - 하루에 1분만 시간 내서 '얼마 썼는지, 어디에 썼는지'만 기록해도 지출 습관이 눈에 보여요.

  • - 요즘은 앱 가계부(뱅크샐러드, 토스 등)로 자동 분류되니 더 간편합니다.

  1. 4. 월급 10%는 '자기 투자비용'으로 따로 챙기세요

  • 책 사거나, 자격증 준비하거나, 강의 듣는 데 쓰는 돈은 소비가 아니라 ‘성장 자산’이에요.

  • 저는 이 중에 4번이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. 최고의 투자는 나 자신을 위한 투자라고 생각하거든요.